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환경호르몬의 습격(sbs)
    건강과 먹을거리 2006. 9. 10. 14:28
    환경호르몬의 습격 (1부) 우리 아이가 위험하다

    ▶ 청소년의 30%가 자궁내막증, 원인은 환경호르몬
    고등학교 2학년 혜선이의 방안 벽은 온통 갈라지거나 손톱으로 긁힌 자국투성이다. 한 달에 한번 생리통의 극에 달하면 벽을 발로차고 손톱으로 긁었기 때문이다. 그녀는 "누가 배를 칼로 갈기갈기 찢는 것 같다"고 말한다.

    고등학교 1학년 선미는 생리 날이 다가오면 극심한 공포감에 휩싸인다. 먹은 것을 다 토하는 것은 물론 위액까지 넘어오는 극심한 구토와 함께 초죽음이 된다. 참을 수 없는 통증이 밀려오기 때문이다. 산부인과를 세 군데나 가보았지만 아무 이상도 없다는 말만 되풀이 할뿐 그녀의 일상은 원인 모를 생리통으로 인해 만신창이가 되어가고 있었다.

    극심한 생리통으로 고통을 겪는 소녀들이 늘어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거나 진통제를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정도의 심한 생리통을 가진 여성들은 가임연령 여성의 10%. 그러나 이 프로그램이 서울과 경기도의 중, 고등학교 학생 1400여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진통제를 상용하는 학생들은 전체의 35%나 되었다.

    생리통의 원인은 무엇일까? 프로그램은 해외의 생리통 환자들을 만나면서 원인이 다름 아닌 내분비 장애물질, 즉 환경호르몬이 아닐까 조심스럽게 추정한다. 생리통이 생기는 것은 배란기에 자궁내벽이 지나치게 두꺼워지기 때문인데 자궁내벽을 두껍게 하는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지나치게 많은 것이 생리통의 주된 원인이다. 그런데 환경호르몬 중에는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것들이 아주 많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이들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화학물질이 자궁내막증 같은 부인과 질환도 일으킬 수 있다는 것도 부산대 김형식 교수의 쥐 실험으로 확인했다. 자궁내막증은 불임 원인의 30%를 차지하는 중요한 부인과 질환이다. 나이 어린 환자들은 완치율도 성인에 비해 절반 밖에 되지 않는다. 제작팀은 중앙대학교병원 산부인과 이상훈 교수팀과 공동으로 표본조사를 통해 중, 고등학교 여학생들의 30% 정도가 자궁내막증에 걸려있다고 분석했다. 이는 사회문제까지 야기할 수 있는 중대한 결과다. 생리통으로 진통제를 상용하는 여중고생들의 대다수가 자궁내막증이라는 충격적인 결과다.

    실제로 프로그램에 출연한 생리통 사례자들 가운데 19세 소녀가 자궁내막증으로 쓰러져 구급차를 타고 병원으로 실려 가 수술을 받는 일이 발생해 제작진을 긴장시키기도 했다. 병원 응급실에는 자궁내막증이 악화될 대로 악화되어 혹이 터지는 바람에 응급수술을 받는 여학생들이 매일 한두 명씩 실려 오고 있었다.

    ▶ 생리통은 병이다
    생리통은 병이 아니라는 잘못된 고정관념 그리고 청소년들은 자궁내막증에 걸리지 않는다는 막연한 생각들이 의료계 일반에 자리 잡고 있어서 이들은 병원에 가더라도 진단이 잘 되지 않는다. 자궁내막증을 가진 청소년 환자가 제대로 진단을 받기까지 지연되는 시간은 평균 9년이나 된다. 맹장이나 복통으로 오인해 다른 질환과를 전전하다 자궁내막증 판정을 받는 사례는 수도 없이 많다. 자궁내막증으로 자궁적출을 해야 하는 경우도 늘고 있고 이로 인한 불임 사례 역시 수없이 많다. 미국에서는 자궁내막증 청소년이 고통과 주변의 몰이해에 지쳐 자살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그렇다면 이 모든 것의 시작 생리통을 줄일 수는 없을까?
    프로그램은 중증의 생리통을 가진 세 명의 여학생에게 환경호르몬 차단 실험을 실시했다. 플라스틱 그릇과 합성세제를 쓰지 않고 유기농 식품과 정수된 물만을 먹도록 했다. 실험은 3개월 예정으로 진행되었다. 그런데 단 한 달 만에 피실험자와 제작팀 모두를 깜짝 놀라게 하는 결과가 나왔다. 세 명의 피실험자들의 생리통이 감쪽같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프로그램은 생리통과 자궁내막증이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편리함을 추구하면서 점점 더 많이 쓰기 시작한 플라스틱, 일회용품, 샴푸, 합성세제 등이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한다.
    내분비장애물질, 즉 환경호르몬이 소리 없이 다가와 우리 인간을 습격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생식기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기 시작했다. 물고기나 개구리들에서나 볼 수 있었던 환경호르몬의 영향이 마침내 사람에게까지 찾아오고야만 것이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