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C 430년경에 만들어진 책으로 전문 1,750여 자의 짧은 글이다.
송나라 때에 주자학이 번성하면서 사서(四書)를 말하기를 학(學) · 용(庸) · 논(論) · 맹(孟) 순으로 하여 사서 중에 처음으로 대학을 꼽으며
오로지 한권의 책만 읽고자 한다면 [대학]을 권했다고도 한다
송나라의 주희는 <대학>을 공자의 가르침을 전하는 [경(經)]과 증삼이 그것을 해설한 [전(傳)]으로 나누어진다고 보고,
그 원칙에 따라 원문을 정리하고 고쳤다 한다. 주자는 '대학장구서'에 [대학]의 원리와 역사적 배경을 기술하고 '독대학법'에서는
[대학]을 읽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어 대학을 조금은 쉽게 접하도록 풀이해 놓았다.
[경(經)]은 삼강령(三綱領)과 팔조목(八條目) 으로 편성되며
삼강령은 사람들에게 선천적으로 갖추어진 덕을 발휘하게 하고[명명덕(明明德)], 민심을 새로이 하고 [신민(新民)],
최고로 선한 세계를 만드는 것이다[지어지선(止於至善)].
그러기 위해서는 올바르게 차근차근 학문을 배워야 한다는 학문의 목적을 말한다
팔조목은 사물의 이치가 밝혀져야(格物) 앎에 이를 수 있고(致知), 앎에 이른 뒤에야 뜻이 정성스러워지며(誠意),
뜻이 정성스러워진 뒤에야 마음이 바르게 되고(正心), 마음이 바르게 된 뒤에야 자신의 덕이 닦이며(修身), 자신의 덕이 닦여야 집이 잘 정돈되고(齊家),
집이 잘 정돈된 뒤에야 나라가 잘 다스려지고(治國), 나라가 잘 다스려진 뒤에야 천하가 평안해진다(平天下)라고
자신이 덕을 닦아야 하는 근본을 말해준다.
이렇게 <대학>은 수신(修身) · 제가(齊家) · 치국(治國) · 평천하(平天下)의 근본이 되는 이념과 그에 따르는 정치철학을 학문으로 연결하고 있다..
그래서 <대학>은 천하를 이끄는 군주나 재상이 익혀야 할 학문으로, 군자라면 누구나 익혀야 할 학문으로 솝꼽게 되었다.
학문의 목적과 자신이 덕을 닦아야 하는 이유를 정확하고 알기 쉽고 분명하게 서술하였으며 '자기 스스로 수양하여 남을 다스린다'는
'수기치인' 정신에도 맞기에 군자가 [대학]을 읽힘은 당연 하였다.
이렇게 [대학]의 [경]은 원문 200 여자로 완성이 되고 이어지는 1,500여자는 [전]으로, [경]의 중요한 구절을 상세히 해설하여 [경전]을 이룬다.
책은 논어와 중용에서 많은 부분을 인용하여서 [대학]의 뜻하는 바의 내용을 정확하고 알기 쉽게 전달하려 하였다.
그러나 첨기된 내용이 개인적 사고와 더불어서 농어와 중용 등의 내용과 함께 장대하게 펼쳐지다 보니 조금은 지루하고
오히려 재해석해야 하는 난해한 점이 있다.
군자와 소인배의 차이를 말하고 나를 위한 삶을 개척하라는 정신이 대인이 가는 길임을 명시한 점은 분명 다스리는 자의 길을 명확히 인도 하고 있다.
그러고 곡 선비의 학문이 아니고 일반 백성도 그렇게 공부하기를 권하기도 한다.
학문이란 읽고 익히는 것보다는 이해하고 행동함이 근본임을 대학은 말해 주고 있다고 생각해 본다.
과거의 군자의 행태가 지금은 존재하지 않는다 하여도 정치적인 군자의 틀과 행동은 과거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을 것 같다.
격물,치지,성의, 정심의 마음을 닦고 난 뒤에 수신제가치국평천하의 자세를 현대의 정치가들은 [대학]을 통해서 다시금 배웠으면 한다.
유학으로 가는 입문서라고는 하지만 진정한 사람 다움, 인격체를 강조한 글이기에 한번 읽음으로는 어림없는 책으로 다시금 정독해야할 것 같다
'책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별별 생물들의 희한한 사생활 (0) 2017.06.30 1cm 경제학 (0) 2017.06.26 잃어버린 도시 Z (0) 2017.06.22 카페에서 만난 장자 (0) 2017.06.16 뮌히하우젠 남작의 모험 (0) 2017.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