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든 한약에 생강을 넣는 것은 아닙니다만 많은 한약에서 약에 생강을 몇조각 넣으라고 되어있습니다 대개의 보약에 많이 들어가는데요.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생강을 꼭 넣어야 하는 약도 있지요.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다고 합니다 1)생강의 해독기능 생강은 반하, 남성의 독을 제거한다 반하, 남성..
먹고 먹힘이 존재하는 자연의 세계에서 자신을 지켜내려는 동식물들의 몸부림은 화학무기를 탄생시켰다. 스컹크의 방귀, 복어의 알은 물론 양파껍질을 벗길 때 우리의 눈물을 자 아내는 것도 자기보호 반응이라는데... 몇 십만 년 전 아프리카 케냐의 골짜기에는 사람의조상이 살고 있었다. 그들은 옷..
예전 조상들은 정월 대보름에 과실나무를 때리는 풍습을 갖고 있었다고 한다. 과실이 많이 달리기를 바라는 미신적인 행위이기도 했지만, 감나무는 작대기로 때리고, 복숭아, 밤, 배나무 등은 아이들이 나무에 올라가 흔들었다 한다. 이렇게 하면 꽃이 잘 피고, 열매도 잘 맺었다 하는데, 미신적인 요..
식물의 스트레스 식물에 스트레스를 주어서 종족보존의 본능을 자극시키는 농사의 대표적인 경우를 살펴보자. 천안, 안성 지역은 거봉포도로 이름난 곳이다. 이들 농가들 중 많게는 50% 이상이 포도나무 박피를 한다. 포도가 열매를 맺어 익어 갈 무렵 포도나무 밑둥을 1cm이상 도려내어 물의 흡수를 방..
<<식물의 종족보존>> ① 깊은 산속의 소나무와 도심 속의 소나무는 어떤 것이 솔방울이 많을까? 환경이 좋은 깊은 산속 소나무가 더 많으리라 생각하지만, 오히려 도심 속 소나무가 더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이유는 공해에 시달리는 도심의 소나무는 자식(솔방울)이라도 빨리, 많이 퍼트리고자..
자연과 가장 가까운 직업 가운데 농업만한 것이 있을까? 농업은 자연법칙에 인간의 노력이 가해진 형태라 볼 수 있겠다. 우선 지구상 모든 생명체에 대한 자연 현상에 대해 살펴보자. 삶에 있어서 동식물 모두 먹을 것을 먹고 살아가는 생존에 대한 법칙과 함께, 종족보존이란 문제가 가장 크게 다가선..
우리 인간들을 자연 속의 한 부분임이 분명하나, 우리들은 항상 이것을 잊고 살아갈 수 밖에 없는 모습을 갖추고 있음이 분명하다. 우리가 살아가고, 생활하고 있는 사회 생활 속에서 조차, 우리는 우리의 눈 높이로 모든 것을 판단해 버린다.우리의 눈으로만 판단하여, 어린이를 책망하고, 노인들을 이..
<의학> 비타민 보충제, 암 예방 효과 없어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비타민 보충제가 소화기 암 예방에 아무 효과가 없으며 오히려 평균수명을 단축할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고 영국 BBC 인터넷판이 1일 보도했다. 덴마크 코펜하겐대학병원 고란 비에라코비크 박사팀..